TOP
빠른상담신청
  • 성함
  • 이메일
  • 연락처
  • 제목
Institute For Mental-Health
연구
종료된 연구과제
우울연구
연구 과제명
(인문)시민 정신건강 관리를 위한 인공지능 기반 마음챙김 및 행동활성화 디지털 앱 기술의 개발
연구 기간
2022. 07. 01 ~ 2025. 06. 30
발주처
한국연구재단
참여 연구진
  • 연구책임자: 배성만
  • 공동연구원: 원성두, 임우영, 석광호, 이승호, 진민진
  • 내부연구원: 신재은, 소용준
  • 학생연구원: 김정아, 이성은, 우수연, 손경호, 김다영, 김예인, 한성수, 유가연, 김유정
연구 목적
시민들의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우울을 예방 및 감소시키기 위해 행동활성화에 기반한 비대면 정신건강 서비스 모델과 디지털 앱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머신러닝과 딥러닝 분석을 활용하여 우울증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사용자와 치료 플랫폼 간의 쌍방향 상호작용을 극대화한 디지털 앱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내용
(1) 비대면 심리치료 서비스의 필요성
  • 지역사회 정신건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이 부족하고 대면 정신건강 서비스만으로는 증가하는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를 해결할 수 없다. 이에 새로운 형식 및 플랫폼을 사용한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제공이 필요한 시점이다.

(2) 기존 온라인 심리치료 개입의 한계점과 개선점
  • 최근 국내외에서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디지털 치료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근거 기반 심리치료 기법(예, 인지행동치료)을 구조화하는 데 한계가 있다. 행동활성화 기법은 행동주의와 인지행동치료에 기반한 심리치료 기법으로 매우 구조화되어 있으며 스트레스 및 우울 문제를 해소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추천되고 있다.
  • 무엇보다 기존의 디지털 치료 개입이 사용자 중심의 접근 방식으로 사용자 스스로 동기를 가지고 치료에 참여해야 하기 때문에 치료 지속성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치료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사용자와 치료 플랫폼 간에 상호작용이 가능한 인공지능 기반의 디지털 치료 기술을 개발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민들의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우울을 예방 및 감소시키기 위해 행동활성화에 기반한 "MaumMove" 앱을 만들고, 우울증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사용자와 치료 플랫폼 간의 쌍방향 상호작용이 가능한 비대면 심리치료 서비스의 근간을 만들어 간다.
연구 성과
(1) 학문적 성과
  • 시민들에 대한 비대면 정신건강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여 미래 정신건강 정책에 대한 학문적 근거를 제공
  • 시민들에 대한 비대면 정신건강 기술의 효과성을 검증하여 비대면 정신건강 개입에 대한 학문적 근거를 제공한다

(2) 사회적/경제적 성과
  • 비대면 정신건강 서비스 제공을 통해 중증 이상의 정신건강 문제로 진행하는 것을 예방함으로써 국가 의료비 및 사회적 비용의 절감
  • 비대면 정신건강 서비스 제공을 통해 시민들의 정신건강 문제가 완화되어 지역사회의 활력 및 국가 생산성 증가
2023 중앙1190구조본부 찾아가는 상담실
연구 과제명
2023년 중앙119구조본부 찾아가는 상담실 운영
연구 기간
2023. 03. 10 ~ 2023. 12. 11
발주처
중앙119구조본부
참여 연구진
배성만, 원성두, 안혜영, 진하영, 지혜경, 손효선, 김석웅, 박건휘, 정은서
연구 목적
① 지속적인 예방교육 및 순회상담 등을 통한 정신건강 관리‧치료
② 소방공무원 정신건강관리 인식개선 및 심리적 회복탄력성 형성
③ 심리 전문상담을 통한 고위험군의 지속적 관리체계 구축 등
연구 내용
① 근거기반 증상별 맞춤형 상담 서비스 제공
② 소방공무원의 직업 특성을 고려한 주제별 정신건강 교육
③ 집단상담 연계프로그램 “힐링 프로그램” 운영
④ 24시간 콜센터 및 긴급심리 위기지원 프로토콜 운용(외상사고 노출 시 72시간 내 심리적 응급처치를 지원)
연구 성과
① 정신건강 관리 및 치료에 대한 인식 전환
② 소방공무원의 직무소진을 치유하고 예방할 뿐만 아니라 직무효능감을 증진시키고 스트레스 회복력 강화를 도움
③ 라포형성을 기반으로 한 고위험군의 지속적인 관리 체계 구축
④ 상담 진행 결과: 총원 412명에 대한 100% 스크리닝 상담 실시. 1:1 심층상담 371회, 집단상담 프로그램 18회 진행
⑤ 만족도 조사: 찾아가는 상담실 서비스 만족도 9.21점, 필요성 및 요구도 9.36점, 상담(개별, 집단 등) 도움정도 9.30점, 전문상담사 및 수행기관 만족도 9.68점
⑥ 특별 프로그램(힐링 프로그램) 운영 성과: 직무스트레스 해소 및 소통을 통한 심신건강 재충전 힐링 프로그램 진행 후 마음건강 인식 개선은 평균 9.87점. 특히, 전반적인 건강상태 인식, 충분한 수면, 피로도 완화에 도움이 되었다고 보고.
2023년 충남소방 찾아가는 상담실
연구 과제명
2023년 소방공무원 찾아가는 상담실 운영
연구 기간
2023. 03. 07. ~ 2023. 12. 15
발주처
충청남도 소방본부
참여 연구진
배성만, 김민선, 백은영, 강상미, 김성아, 내명옥, 조왕신, 이경진, 위고운, 한숙자, 최경은
연구 목적
① 재난현장 스트레스 등의 예방 및 정신건강 관리를 위한 상담체계 구축
② 소방공무원의 심리적 회복탄력성 강화 및 현장활동 스트레스 저감(완화)
③ 외상후스트레스, 우울증 등 정신건강 고위험군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
연구 내용
① 근거기반 증상별 맞춤형 상담 서비스 제공(스트레스 및 수면장애, PTSD, 우울 등)
② 충남 소방공무원의 선호 및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심리지원 전략을 수립 및 제공(스트레스, 우울, PTSD, 수면장애, 자살사고 및 행동 특성 등)
③ 다양한 집단 프로그램 운영: 회복탄력성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 조직 내 문화적 감수성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마음챙김 집단상담 프로그램 등
④ 충남권역 내 마음공감센터 4개소 운영 및 직영 상담소 1개소 운영을 통한 접근 용이성 증대
⑤ 자녀 및 배우자 관계 개선 등 가족복지를 위한 심리지원
⑥ 24시간 콜센터 및 긴급심리 위기지원 프로토콜 운용: 정신건강 위험군을 비롯하여 자살 사망 목격 혹은 자살 목격, 동료 순직, 참혹한 현장 출동 등 외상사고 노출 시 72시간 내 심리적 응급처치 지원
연구 성과
① 찾아가는 상담실 및 보건안전 지원사업에 대한 이해 증진 및 인식 개선
② 소방공무원의 직무소진을 치유하고 예방할 뿐만 아니라 직무효능감을 증진시키고 스트레스 회복력 강화를 도움
③ 라포형성을 기반으로 한 고위험군의 지속적인 관리 체계 구축
④ 상담 진행 결과: 총원 4,226명 중 78.4%에 대한 스크리닝 상담 실시. 1:1 심층상담 2080회, 집단상담 프로그램 43회 진행
⑤ 만족도 조사: 찾아가는 상담실 서비스 만족도 7.9점, 필요성 및 요구도 7.9점, 상담(개별, 집단 등) 도움정도 7.7점, 전문상담사 및 수행기관 만족도 8.2점
⑥ 특별 프로그램(치유 여행) 운영 성과: 만족도 평가 결과, 88점. 음식, 미술, 산림, 향기치유 등 다양한 테마로 힐링여행을 통해 정서를 환기시키고, 직무스트레스로 인해 긴장된 신체 및 심리를 이완시키는 기회를 가짐.
2024년 충남소방 찾아가는 상담실
연구 과제명
2024년 소방공무원 찾아가는 상담실 운영
연구 기간
2024. 01. 01 ~ 2024. 12. 31
발주처
충청남도 소방본부
참여 연구진
배성만, 최경은, 강상미, 내명옥, 조왕신, 위고운, 한숙자, 이승철, 안정환
연구 목적
① 재난현장 스트레스 등의 예방 및 정신건강 관리를 위한 상담체계 구축
② 소방공무원의 심리적 회복탄력성 강화 및 현장활동 스트레스 저감(완화)
③ 외상후스트레스, 우울증 등 정신건강 고위험군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
연구 내용
① 근거기반 증상별 맞춤형 상담 서비스 제공(스트레스 및 수면장애, PTSD, 우울 등)
② 충남 소방공무원의 선호 및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심리지원 전략을 수립 및 제공(스트레스, 우울, PTSD, 수면장애, 자살사고 및 행동 특성 등)
③ 다양한 집단 프로그램 운영(직장 내 상하관계 개선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수면장애 개선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스트레스 회복 집단상담 프로그램 등)
④ 뇌파(EEG) 검사와 심박변이도(HRV) 검사 실시: 우울증, 스트레스, 수면장애 등 심리적 및 생리적 건강 문제 파악과 개입 효과성 증대
⑤ 가정 문제 해결 및 자녀 및 배우자 관계 개선 등을 위한 가족복지 심리지원
⑥ 고위험군 관리: 365일 24시간 핫라인 구축(주∙야간 콜센터 운영), 긴급심리 위기지원 프로토콜 운용(정신건강 위험군 및 외상사고 노출 시 72시간 내 심리적 응급처치 지원)
연구 성과
① 찾아가는 상담실 및 보건안전 지원사업에 대한 이해 증진 및 인식 개선
② 소방공무원의 직무소진을 치유하고 예방할 뿐만 아니라 직무효능감을 증진시키고 스트레스 회복력 강화를 도움
③ 라포형성을 기반으로 한 고위험군의 지속적인 관리 체계 구축
④ 뇌파(EEG) 검사와 심박변이도(HRV) 검사 결과: 우울증, 수면장애, 스트레스 수준에 대한 특정 뇌 영역과 자율신경계 기능의 영향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개입(뇌파 기반 치료 및 HRV를 활용한 중재 프로그램 등)을 위한 토대 마련
⑤ 상담 진행 결과: 총원 4,133명 중 78.4%에 대한 스크리닝 상담 실시. 1:1 심층상담 1155회, 긴급 심리위기지원 대응 544회, 집단상담 프로그램 48회 진행
⑥ 만족도 조사: 찾아가는 상담실 인식도 변화 8.9점, 필요성 및 요구도 9.0점, 상담(개별, 집단 등) 도움정도 8.8점, 전문상담사 및 수행기관 만족도 9.1점
⑦ 특별 프로그램(힐링 캠프) 운영 성과: 다양한 힐링 프로그램과 동료들 간의 소통을 통해 심신의 스트레스 해소 및 휴식을 제공하고, 동료 간 화합과 지지를 형성. 만족도 조사결과, 심신안정 도움 및 이해도 증진에 도움이 되었다는 응답이 평균 97%
VR을 이용한 의사소통역량 함양을 위한 E-edu 시스템 개발
연구 과제명
VR을 이용한 의사소통역량 함양을 위한 E-edu 시스템 개발
연구 기간
2019. 07. 01 ~ 2022. 06. 30
발주처
한국연구재단
참여 연구진
- 연구책임자 : 박종태
- 공동연구원 : 김지효, 박성만, 이영림, 장종화
연구 목적
① 3D, VR 기술을 활용한 가상현실 플랫폼 구축 및 구강의 생체공학적 특성을 반영한 음성인식 표준화 모델 정립
② 올바른 영어 발음을 통한 의사소통 역량 강화를 목표로 한 3D 가상현실 기반 E-edu 시스템 개발
연구 내용
1. VR기반 E-edu 시스템 설계 및 인터페이스 구축
  • 문헌분석, 설문, 인터뷰, 실험 등으로 요구도 조사
  • VR 기술 개발 및 학습 환경 구현
  • HMD & 모션컨드롤러 VR 인터랙티브 시스템 개발
  • HMD 환경에 적합한 UI/UX 개발

2. VR기반 E-edu 시스템 개발 및 교육콘텐츠 DB 구축
  • 학습콘텐츠 DB 구축 및 가이드라인 개발
  • VR 콘텐츠 개발(영어 발음 교육 시나리오 및 인터렉션, 3D 그래픽, UI/UX 디자인)

3. VR기반 E-edu 시스템 효과성 검증 및 평가시스템 구축
  • 영어발음 실시간 렌터링, 음성인식 운영 프로그램, 평가시스템 구현
  • 실험연구 및 질적연구를 통한 효과성 검증
  • VR기반 E-edu 시스템 교육체험 훈련/평가 부스 시제품 제작
연구 성과
1. 학문적·사회적 기여
  • 영어교육학, 생체공학, 전자공학 등 다학제간 연구를 통한 새로운 학문 영역 확장
  • 의사소통역량 강화 프로그램 기획을 위한 정량적 자료 확보
  • 글로벌 역량의 향상을 위한 통합적 접근법으로 후속연구에 대한 근거자료 제공

2. 경제·산업적 기여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합하는 교육방법에 대한 방향 제시 및 교육 정책결정에 기여
  • 영어 의사소통역량 육성에 소요되는 비용 절감

3. 인력양성 방안
  • 연구보조원에게 3D 및 VR 개발 전문가 및 연구자로서의 방향 제시
  • 음성처리 전문가 과정 운영

4. 교육과의 연계 활용 방안
  • E-edu 시스템을 활용한 영어 교육 교재 및 참고자료 활용
  • E-edu 시스템 구축으로 특화된 의사소통 강화 프로그램 기획에 기여
  • 교과 및 비교과 교과목 개설과 연계를 통한 맞춤형 E-edu 시스템 적용 및 확산
  • 연구소명단국대학교 마음건강연구소
  • 소장배성만
  • 대표전화041-550-3148
  • 이메일Mental_health_lab@dankook.ac.kr
  • 주소 (연구소)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단대로 119(31115) 사회과학관 325호 (상담실)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단대로 119(31115) 사회과학관 124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