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빠른상담신청
  • 성함
  • 이메일
  • 연락처
  • 제목
Institute For Mental-Health
연구
현재 수행 중인 연구과제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
자해, 자살예방
디지털 앱 개발
  • 문헌 리뷰 및 정신건강 디지털앱 분석
  • 생동활성화에 기반한 자살 예방 프로토콜 개발
  • 자해, 자살 예방을 위한 디지털 앱 개발
  • 디지털 앱의 고도화와 효과성 검증
자살골든타임
예측 모델 개발
  • 자살 예방 디지털 앱 사용자의 데이터 구축
  • 멀티 모달 딥러닝 골드타임 예측 모델 설계
  • AI Hub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모델 사전 학습
OpenAI ChatGPT 기반
치료연계 네트워크 개발
  • 골든타임 예측 AI모델 미세조정(행동지표 추가학습)
  • 자살 골든타임 대상자 치료 연결 서비스 구축
  • 치료 예계 네트워크의 효과성 검증
연구 과제명
청소년 자살 골든타임 예측 모델 개발 및 OpenAI Chat GPT를 활용한 치료연계 시스템 개발
연구 기간
2024. 09. 01 ~ 2030. 08. 31
발주처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
참여 연구진
  • 연구책임자: 배성만
  • 공동연구원: 김민선, 이연주, 이영림
  • 전임연구원: 안운경, 이명주, 심기선
연구 목적
첫째, 효과적인 청소년 자살 예방을 위해 행동활성화에 기반한 디지털 앱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둘째, 디지털 앱 사용자들의 정보와 국가공개 빅데이터에 기반하여 자살골든타임을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하고, 자살골든타임 청소년을 대상으로 OpenAI ChatGPT를 활용해 초기 개입하며 치료 장면에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내용
  • 첫째, 행동활성화에 기반한 청소년 자살 예방 디지털 앱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둘째, 디지털 앱 사용자의 데이터와 AI Hub 국가 빅데이터에 기반하여 멀티 모달 딥러닝 골드타임 예측모델을 개발하 는 것이다.
    셋째, 행동지표(표정 및 목소리 정보, 스마트폰에 기록된 위치정보, 수면 시간, 활동량 등)를 추가하여 자살골든타임 예측을 고도화하고, 자살 고위험군으로 선정된 대상자에게 OpenAI ChatGPT를 활용하여 안정화를 위해 초기 개입하고 지역사회 치료기관에 연계하는 네트워크를 개발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 개발된 치료 연계 시스템은 자살예방 프로그램 인증과 임상 시험을 거쳐 지역사회 정신건강 기관에 시범 적용하고자 한다.
    이러한 노력은 현재 오프라인 중심의 자살 개입 정책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실제적인 자살률을 낮추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입양가정 심리정서지원 연구
연구 과제명
국내 입양가정 심리정서지원사업(아동권리보장원 MOU 협약)
연구 기간
2022. 04 ~ 2025. 03 (계속 연장 예정)
발주처
아동권리보장원
참여 연구진
  • 연구책임자: 배성만
  • 연구원: 김민선, 안운경, 진하영, 김정아, 이승호, 박희진, 백정연, 곽현정, 이상원
연구 목적
입양 후 심리/정서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국내 입양가정에 서비스 제공
연구 내용
  • 아동권리보장원과 MOU 협약을 통한 사업 실시를 통한 서비스 인프라 확충
  • 아동권리보장원에 서비스를 의뢰한 입양가정에 한해 단국대학교 마음건강연구소(심리상담센터) 소속 상담사와 매칭
  • 입양가정 아동 및 부모의 종합심리평가, 발달평가, 정서 및 성격, 양육태도 평가 외 개인 상담, 부모상담, 가족상담, 모래놀이치료, 미술치료로 심리서비스 프로그램 구성
  • 매월 1회 단국대학교 마음건강연구소(심리상담센터)에서 사업 관련 내용 검토 및 품질 향상을 위한 내부 회의 진행
  • 단국대학교 재직 중이며 전문적인 상담사 자격을 갖춘 심리학과 교직원, 심리학 전공 대학원 재학생, 졸업생이 참여하여 운영
  • 교내 상담실 외에도 지역사회 심리상담센터(現 맑은 마음상담센터 협약)와 연계하여 놀이, 미술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심리상담 및 심리치료를 제공하는데 노력
연구 성과
  • 입양가정 아동과 부모를 대상으로 종합심리평가, 상담, 놀이·미술치료 등 맞춤형 심리서비스를 제공하며, 전문 상담사와 심리학과 대학원생이 참여하여 체계적인 심리지원 체계를 구축하였다.
  • 지역사회 심리상담센터와의 협력을 통해 상담 인프라를 확장하고, 입양가정의 심리·정서적 안정을 지원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 연구소명단국대학교 마음건강연구소
  • 소장배성만
  • 대표전화041-550-3148
  • 이메일Mental_health_lab@dankook.ac.kr
  • 주소 (연구소)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단대로 119(31115) 사회과학관 325호 (상담실)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단대로 119(31115) 사회과학관 124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