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연구 분야
-
연구목표- 우울 및 자살 위험군을 조기에 발견하고,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심리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자살률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행동활성화(BA) 및 수용전념치료(ACT)와 같은 근거기반 개입을 활용하여 정서 회복 및 삶의 의미 회복을 촉진합니다.
연구내용
01
청소년, 대학생, 고령자 등 연령별 맞춤형 자살예방 프로그램 설계 및 적용
02
행동활성화(BA) 기반 단기 개입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03
수용전념치료(ACT) 기반 자살위기 완화 개입 및 가치중심 행동전환 연구
04
자살위험군 연계모형 구축 및 위기 대응 프로토콜 연구
-
연구목표- 디지털 어플과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정신건강 서비스 개발을 통해, 시간·공간 제약 없이 개입이 가능한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연구내용
01
모바일 기반 우울·불안·자살위기 중재 앱 개발 및 임상 적용
02
행동활성화(BA) 및 수용전념치료(ACT) 기반 디지털 개입 프로토콜 제작
03
감정 상태 추적 및 자살위험 예측을 위한 AI 알고리즘 개발
04
사용자 경험(UX) 및 지속 사용성 분석을 통한 개입 효율성 개선
05
디지털 중재의 무작위대조실험(RCT)을 통한 임상적 효과 검증
-
연구목표- 재난, 사고, 폭력 등 심리적 외상 경험 이후 발생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정서적 안정과 회복 탄력성을 증진할 수 있는 개입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연구내용
01
청소년·성인을 위한 EMDR, CPT, ACT 기반 트라우마 치료 모듈 개발
02
외상 대응 인력(소방, 응급, 의료) 직무 특성에 기반한 맞춤형 심리개입 프로그램 개발
03
지역사회 재난심리지원 모델 구축 및 효과 평가
04
위기상황 대응을 위한 심리적 응급개입 프로토콜 설계
05
상담자·의료인 대상 트라우마 인식 교육 및 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
-
연구목표- 알코올, 스마트폰, 인터넷, 도박 등 다양한 중독 행동의 심리적 기제를 이해하고, 중독 문제 예방과 회복을 위한 실천적 개입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연구내용
01
중독 행동의 심리사회적 위험 요인 분석 및 평가도구 개발
02
청소년 대상 디지털 중독 예방 교육 및 부모-자녀 상호작용 개선 프로그램 개발
03
지역사회 기반 중독 재활 모델 구축 및 실증 연구
04
중독 회복 단계별 맞춤형 심리지원 체계 개발 및 적용
-
연구목표- 생애진로발달적 관점에서 개인의 진로 탐색과 발달 과정을 이해하고 촉진하며, 이를 통해 다양한 생애 단계에서의 진로적응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연구내용
01
청소년 학습과 진로 발달 및 동기 강화
02
청소년/성인 진로성숙도 및 진로결정의 어려움 관련 도구 개발
03
기혼 여성들의 일-가정 양립 관련 연구
04
만성 정신질환을 경험하는 개인들의 직업수행 경험에 대한 연구